알뜰교통카드 앱 | 대중교통은 이용하는 주민들이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위해서 걷거나 자전거로 이동한 거리만큼 마일리지(교통비의 20%)를 지급하는 제도입니다.(카드사의 추가할인혜택(+10%)을 포함 최대 30% 교통비 절감 혜택)

잠깐! 저축은행 예금 금리 높은 곳!! 중앙회 앱을 설치하면 전국 66개 저축은행 서비스를 한번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(아래글!!)
>> 저축은행 중앙회 SB톡톡플러스 앱 | 예금 금리 비대면 계좌
자세한 설치 및 이용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.
> 알뜰교통카드 앱 | 설치하기
▼ 갤럭시 안드로이드 사용자 ▼
▼ 아이폰 IOS 사용자 ▼
▼ 알뜰교통카드 앱 홈페이지 ▼
> 알뜰교통카드 앱 사용 카드
사용가능 카드에는 후불카드(신한, 우리, 하나)와 선불카드(티머니페이, 모바일캐시비, 원패스)가 있습니다.
신한, 우리, 하나 카드사에서 플라스틱 카드를 지급받아 이용할 수 있습니다.
▼ 티머니페이 선불카드 설치 ▼
▼ 코바일캐시피 선불카드 설치 ▼
▼ 원패스 선불카드 설치 ▼
> 알뜰교통카드 사용방법 동영상
> 교통알뜰카드 사용방법
아래와 같이 다양한 기능과 정보를 제공합니다.
사용방법 간단한 예시
알뜰교통카드앱을 설치하고 본인확인, 사용할 카드 등록, 거주지 확인 후 앱 사용시 “출발”을 누르고 도착시 “도착”을 눌러주시면 중간 대중교통을 이용한 거리를 제외한 집에서 대중교통까지의 거리와 대중교통에서 하차 후 회사까지의 이동거리를 계산하여 마일리지를 자동 적립합니다.(아래 이용 예시)

회당 마일리지 적립액(보행·자전거 최대 800m 이동시, 월상한 44회)
교통요금지출액 | 2천원 미만 | 2천원 이상 ~ 3천원 미만 | 3천원 이상 |
마일리지 지급액 | 최대 250원 | 최대 350원 | 최대 450원 |
– 800m미만은 이동거리에 비례하여 지급하고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시 지급, 미세먼지 저감조치 발령시 두배를 지급
저소득층 마일리지 상향 지원
만 19세 이상의 기초생활수급자, 차상위계층, 저소득층에 대해서는 관할 주민센터에서 증빙서류(주민등록 등,초본)을 발급받아 회원가입시 등록하여 주시면 가능합니다.(이동거리 최대 800m 기준)
교통요금지출액 | 2천원 미만 | 2천원 이상 ~ 3천원 미만 | 3천원 이상 |
마일리지지급액(저소득층) | 최대 350원 | 최대 500원 | 최대 650원 |
알뜰교통카드의 사용방법 간단 정리
- 알뜰교통카드앱을 설치합니다.(할인 최대 20%)
- 신한, 우리, 하나 은행의 카드사를 통해서 플라스틱 후불카드를 발급받거나 티머니페이, 모바일캐시비, 원패스 앱을 설치하고 선불 카드 발급받습니다.(카드사 할인 최대 10%)
- 알뜰교통카드앱을 실행하고 발급받은 카드 정보를 등록하고 주소확인 및 저소득층(수급자, 차상위 등) 확인이 필요할 경우 주민센터에서 주민등록 등,초본을 발급받아 알뜰교통카드 앱 내정보에서 등록합니다.
- 최종 등록 및 확인 절차가 완료된 알뜰교통카드 앱을 실행합니다.
- 출발지에서 “출발” 버튼을 도착지에서 “도착”버튼을 눌러 사용하면 마일리지를 적립하고 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.
아직도 쉽게 이해가 되지 않으신다면 아래 동영상을 통해서 간편하게 사용법을 확인해보세요!!
> 생활 필수 정보
계산기 앱 어플 | 무료 칼로리 재무 공학용 금융 아이폰
> MovetoAnswer.com에서는 생활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.
태그 tags
알뜰교통카드, 알뜰교통카드 앱, 알뜰교통카드 사용법, 알뜰교통카드 어플, 알뜰교통카드 nfc, 알뜰교통카드 비교, 알뜰교통카드 사용지역, 알뜰교통카드, 모바일캐시비, 원패스, 더머니페이, 알뜰교통카드 캐시비